일반

조회 수 477 추천 수 0 댓글 0

정보통신공학부 졸업작품 운영 방안 안내드리오니, (붙임)파일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.


 

<정보통신공학부 졸업작품 운영 방안>

 

1. 운영 방안

  필수 사항 기타

3학년 

2학기

① 산학프로젝트(종합설계)” 수강

② 겨울방학 (캡스톤디자인 수강 신청 전)

-지도교수 상담을 통한, 졸업작품 주제 선정 및 팀 구성

(졸업작품 주제 및 팀 구성 내용을 포함하여 평생 사제 상담 내역에 기재되어야 함)

역학기 복* (5학기 이수자)의 경우

- 6학기 복학 전까지 지도교수 상담을 통한 졸업작품 주제 선정 및 팀 구성

4학년 

1학기

① 캡스톤디자인” 수강

② 5졸업작품 심사

캡스톤디자인 모든 수강생은 반드시 졸업작품 심사 참여

(심사 불참 시, ‘불합격’ 처리)

③ 5월 말졸업작품보고서 제출

- 졸업작품 심사에 합격한 자는 “졸업작품연구보고서”를 작성해 학부 사무실로 제출 (지도교수 서명 필수) → 최종 합격 처리

º졸업작품 주제 선정 후지도교수 변경 불가

 

º역학기 복학생*의 경우

6학기 재학 중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수강하고 졸업작품 심사에 반드시 참여

 

º편입생의 경우초과학기 2개 학기가 필요한 경우 9학기에 캡스톤디자인을 수강하고 졸업작품 심사를 받을 수 있다

4학년

2학기년 2

11전자정보대학 캡스톤디자인(졸업작품전시회참가

 

※ 캡스톤디자인 수업에서의 졸업작품 심사 후 주제가 변경된 경우, 2학기 졸업작품 심사에 참가할 수 없으며 해당 학생은 차년도 1학기 졸업작품 심사에 참여할 수 있다. (차년도 1학기 심사에 합격 후, 차년도 2학기 졸업작품전시회 참여 필수- 1학기 심사 합격 후 졸업논문과 ‘(서식1) 졸업작품전시회 참가 확약서’ 제출 필수)

 

• 1학기 합격자: 11월에 개최되는 “전자정보대학 캡스톤디자인 (졸업작품전시회) 참여 필수

• 1학기 불합격자: 전시회 당일 재심사 참여

- 재심사 조건: 캡스톤디자인에 제출된 졸업작품 주제와 동일하거나 발전된 형태여야 함

- 불합격 조건: 동일한 작품이 아니면 불합격 처리

역학기 복학생*의 경우

7학기 재학 중 전시회 참여

* 역학기 복학생: 5학기 이수자가 휴학 이후 ‘1학기’에 복학한 학생

   

2. 세부 사항

 1) 졸업작품 심사 대상 정의

  - 대상: 6학기 이수자 (4학년 1학기 재학생)

   ※ 역학기 복학생* 포함

   ※ 학·석사연계과정 학생도 졸업작품 심사에 참가해야 함

 2) 졸업작품 주제 선정 및 팀 구성 시점

  - 3학년 2학기 겨울방학 (캡스톤디자인 수강 신청 전): 반드시 지도교수와 상담 후, 졸업작품 주제 선정 (필수) ※ 역학기 복학생* 포함

 3) 졸업작품 팀 구성 인원 제한: 3명 이하로만  팀 구성 가능

 4) 캡스톤디자인 수업 연계

  - 4학년 1학기: 모든 학생이 캡스톤디자인 수업에서 졸업작품 심사 의무화

 5) 졸업작품의 일관성 유지

  - 4학년 2학기 심사 조건: 1학기에 심사받은 졸업작품과 동일하거나 발전된 형태여야 함

  - 불합격 조건: 동일한 작품이 아니면 불합격 처리

 6) 학·석사연계과정 학생은 학부 졸업논문 면제 대상이나, 4학년 1학기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수강시 졸업작품 심사에 참여해야 한다.(면제 대상으로 졸업작품 심사 합격/불합격 여부는 상관없음) 단, 중도 포기자는 일반 학생과 동일하게 학사과정의 졸업논문을 제출해야 한다.(졸업작품심사 합격 및 졸업작품전시회 참여 필수)

 

 

3. 학술대회 인정 범위

 - 졸업작품 심사 학기 기준 ±1학기 사이 전국 규모 국내 학술대회에 주저자로 논문 발표 시, 해당 학생을 논문 대체자로 인정 (※ 팀의 경우, 팀원 중 1명이 주저자이고 모든 팀원이 해당 논문 저자 명단에 포함되면 모두 논문 대체자로 인정)

   - 다만, 학칙 제83조에 따른 절차상 필요로 논문 대체자도 다른 학생들과 같이 “졸업작품 전시회에 참가” 및 “졸업보고서 제출”를 필수로 함.